여러분 안녕하세요. Dr.만물입니다. 아기를 바라고 있었던 젊은 신혼부부 사이에서 생긴 소중한 태아는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보물일 것 입니다. 그런데 만일 상호간 신뢰가 무너져 있는 남녀 관계에서 생긴 아기는 슬프게도 이러한 축복을 받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친부/친모 여부를 가장 직관적이고 쉽게 알 수 있는 부분이 아마 혈액형 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부모의 혈액형에 따라 그 사이에서 태어나는 아기의 혈액형은 정해져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저와 여러분 모두 일반적인 학창시절을 보내셨다면 분명히 배운 적이 있을 것 입니다. 그런데 학교를 졸업하고 바쁘게 사회생활을 하다보니 수십 년 전의 기억이 가물가물 할 수 있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 여러분께 한번 더 짚어드리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그리고 최근 연구결과를 통해 기존의 ABO 혈액형 규칙을 깨뜨리는 예외가 밝혀졌는데 이에 대한 설명을 함께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조하셔서 보다 정확하고 최신의 일상 속 과학지식을 쌓아가시기 바랍니다!
대량을 수혈 받을 때는 같은 혈액형에게서 수혈 받아야만 합니다!
#1. 혈액형 유전의 기본 원칙은?
일반적으로 우리는 혈액형을 A, B, O 그리고 AB 총 4가지로 나눕니다. 이렇게 나누는 원리는 피에 들어있는 주요 성분이자 빨간색을 띄는 이유인 적혈구의 특성 때문입니다. 적혈구의 표면에는 개인의 유전적 성질에 따라 A 또는 B 항원이 나타나기도, 나타나지 않기도 합니다. 만일 적혈구의 표면에 A 항원이 나타나면 A형, B 항원이 나타나면 B형이 됩니다. 그리고 A, B 항원이 모두 나타나면 AB형, 둘 다 나타나지 않으면 O형이 되는 원리입니다.
저와 여러분을 비롯한 우리 모두는 아버지에게서 유전자를 절반, 그리고 어머니에게서 유전자를 절반 물려받습니다. 따라서 혈액형을 결정짓는 유전자도 양쪽에서 하나씩, 총 두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부모가 자식에게 혈액형 성질을 물려줄 때에는 A 또는 B 중 하나를 물려주거나 둘다 물려주지 않는 총 3가지의 경우의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하나 더 체크해야 하는 점은, 혈액형 유전성질 O의 경우 부끄럼쟁이라, A나 B와 함께 있을때는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 입니다. 따라서 양쪽 부모로부터 똑같은 A를 물려받은 AA형의 사람과, 아버지(또는 어머니)에게서 A, 어머니(또는 아버지)에게서 O를 물려받은 AO형의 사람은 혈액형 면에서 동일합니다. BB형과 BO형의 경우에도 이와 마찬가지이구요. AB형의 경우 한쪽에게서 A, 다른 한쪽에게서 B를 물려받아 두가지 특성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O형의 경우에는 양친에게서 O만 물려받았기 때문에 OO형이 유일합니다.
따라서 만일 여러분 중 A형인 분들이 있으시다면 본인이 AA형인지 아니면 AO형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B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구요. 다만 AB형이나 O형(OO형)의 경우에는 정확하게 알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는 점 먼저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에서는 본인의 혈액형에 따라 어떠한 조합이 발생할 수 있는지 각각 예를 들도록 하겠습니다. 다 읽으실 필요는 없고 본인에게 해당하는 혈액형만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
::
#2. 여러분이 만일 A형이라면?
앞서 말씀드린듯이 여러분이 AA형인지 AO형인지 알 수는 없습니다. O형 자녀를 낳아 봐야 AO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지요.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은 자녀에게 A 또는 O를 물려줄 수 있다고 가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형 배우자(AA 또는 AO) - 자녀의 혈액형은 A형 (AA 또는 AO), O형 (OO) 이 될 수 있습니다.
B형 배우자(BB 또는 BO) - 자녀는 모든 종류의 혈액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O형 배우자 (OO) - 자녀의 혈액형은 A형 (AO), O형 (OO) 이 될 수 있습니다.
AB형 배우자 (AB) - 자녀는 모든 종류의 혈액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3. 여러분이 만일 B형이라면?
A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분 스스로는 BB형인지 BO형인지 알 수 없습니다. O형 자녀를 낳았을 경우, 내가 O를 물려줄 수 있었던 BO였구나 이해하실 수 있지요. 따라서 여러분은 자녀에게 B 또는 O를 물려줄 수 있다고 가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형 배우자(AA 또는 AO) - 자녀는 모든 종류의 혈액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B형 배우자(BB 또는 BO) - 자녀의 혈액형은 B형 (BB 또는 BO), O형 (OO) 이 될 수 있습니다.
O형 배우자 (OO) - 자녀의 혈액형은 B형 (BO), O형 (OO) 이 될 수 있습니다.
AB형 배우자 (AB) - 자녀는 모든 종류의 혈액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부모님 중에 O형이 계시다면, AO/BO 여부를 정확히 알수 있지요!
#4. 여러분이 만일 O형이라면?
여러분이 O형이라면 유전적으로는 무조건 OO일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자녀에게 O만 물려줄 수 있습니다.
A형 배우자(AA 또는 AO) - 자녀의 혈액형은 A형 (AO), O형 (OO) 이 될 수 있습니다.
B형 배우자(BB 또는 BO) - 자녀의 혈액형은 B형 (BO), O형 (OO) 이 될 수 있습니다.
O형 배우자 (OO) - 자녀의 혈액형은 무조건 O형 (OO) 입니다.
AB형 배우자 (AB) - 자녀는 A형 (AO) 또는 B형 (BO) 이 될 수 있습니다.
#5. 여러분이 만일 AB형이라면?
여러분이 AB형이라면 유전적으로는 무조건 AB일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자녀에게 A 또는 B를 물려줄 수 있습니다.
A형 배우자(AA 또는 AO) - 자녀는 모든 종류의 혈액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B형 배우자(BB 또는 BO) - 자녀는 모든 종류의 혈액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O형 배우자 (OO) - 자녀는 A형 (AO) 또는 B형 (BO) 이 될 수 있습니다.
AB형 배우자 (AB) - 자녀는 A형 (AA), B형 (BB) 또는 AB형 (AB) 이 될 수 있습니다.
::
::
#5. 예외규칙 하나, cis-AB형
아마도 위와 같은 내용은 많은 분들이 아마 알고 계셨을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AB형을 가진 부모 중 cis-AB 가 있다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AB형과 O형 사이에서 아기가 태어났을 때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앞서 말씀드린 내용이라면 자녀는 A형 또는 B형이 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cis-AB형의 경우 O형 또는 AB형의 아기도 태어날 수 있다는 점이지요!
일반적인 AB형은 자녀에게 A 또는 B를 물려줄 수 있습니다. 그런데 cis-AB형의 경우 자녀에게 AB 또는 O를 물려줄 수 있습니다. 아버지에게서 받은 유전자에 A/B 중 하나, 어머니에게서 받은 유전자에 반대의 유전자 하나가 존재해야 하는데 cis-AB형은 아버지나 어머니 한쪽에게서 AB 둘다 물려받았기 때문입니다. 일종의 유전적 돌연변이인 셈이지요. 따라서 cis-AB형과 O형의 자녀 중에는 AB-O 조합의 AB 형과 O-O 조합의 O형이 태어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말씀드리면 AB형과 O형 사이에서 태어난 AB형 아기는 무조건 cis-AB형이므로, 손자 세대에서도 동일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인도 봄베이(현재 뭄바이)에서 주로 발견되는 봄베이 O형!
#6. 예외규칙 둘, 봄베이 O형
두번째 예외규칙은 봄베이 O형입니다. O형은 O형의 부모님 사이에서만 태어날 수 있기 때문에 확률 상 상대적으로 귀한 혈액형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녀에게 O밖에 물려줄 수 없는 O형이 O형 배우자와의 사이에서 A 또는 B형을 낳거나, 혹은 AB형 배우자와의 사이에서 AB형을 낳게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부모가 O형이면 자녀는 양친으로 부터 O밖에 받을 수 없으므로 O형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O형-AB형 배우자 사이에서는 AO 또는 BO 조합밖에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위와 같은 경우가 발생했다면, 여러분은 봄베이 O형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전적으로는 AO 또는 BO인데, 실제 나타난 혈액형은 O형이라는 것이지요. 이게 어떻게 가능한 일일까요? 원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소 복잡한데 일반적인 A, B, O, AB 형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적혈구 항원이 있습니다. 그런데 봄베이 O형은 이러한 기본적인 적혈구 항원을 갖고 있지 않은 혈액형 입니다. 따라서 유전적으로는 AA, AO, BB, BO 형이라 할지라도 겉으로는 O형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숨어있는 유전적 특성이 작용해서 예상치 못한 혈액형이 자녀에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봄베이 O형의 경우 자녀 뿐만이 아니라, 일반 수혈/헌혈 시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겉으로는 O형 처럼 보이나 O형에게서 수혈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지요. 일반적인 혈액형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항원도 없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봄베이O형은 봄베이O형 끼리만 수혈/헌혈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에 봄베이 O형은 약 10명밖에 없다고 합니다.
::
::
지금까지 혈액형 유전법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5 챕터까지 말씀드린 부분이 일반적이나, cis-AB이나 봄베이O형등 예외규칙이 있다는 점도 함께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혈액검사하실 때마다 A형과 O형이 번갈아 나오거나, B형과 O형이 번갈아 나온다면 weak A형 또는 weak B형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전적으로는 정상적인 A형 또는 B형과 같으니 위의 내용을 잘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저는 더욱 유용하고 재미있는 주제를 가지고 여러분을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관련정보 더 알아보기
댓글